
홍콩을 대표하는 톱스타인 양조위가 지난 4월 14일 영화 ‘골드핑거’로 중화권을 대표하는 3대 영화상 중 하나이자, 홍콩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제42회 홍콩 금상장 영화제에서 영화 ‘골드핑거’로 남우주연상을 받았다.

양조위는 1990년 ‘살수호접몽’으로 첫 금상장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이후 ‘중경삼림’, ‘해피투게더’, ‘무간도’, ‘2046’ 등의 작품으로 5번의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, 이번 수상은 무려 6번째이다.

그만큼 연기라면 손색없는 홍콩을 대표하는 톱스타인 그가 이번 수상 이후 강도높은 비판을 받고 있다.
‘도신’ 시리즈를 연출한 웡징 감독은 15일 자신의 SNS를 통해 “’골드핑거’에서 양조위의 연기는 그가 할 수 있는 최고의 연기가 아니었다”라고 비판했다.

이어 “‘색,계’와 ‘2046′에서 보여준 절제된 연기보다 훨씬 과잉되게 연기했다”라고 평가했는데, 여기까지는 감독이자 동료로서 개인적인 아쉬움으로 한 말로 읽힐 수 있으나 뒤에 이어진 발언이 문제의 핵심이었다.

내가 양조위라면 수십 년 전 젊은 세대에게 기회를 주기 위해 상을 받지 않겠다고 한 알란 탐이나 장국영의 길을 따를 것.
웡징 감독의 해당 발언은 그야말로 중화권을 뜨겁게 달구며 찬반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. 선배들의 양보가 신예 배우들에게 기회가 되고 격려가 될 것이라 동의하는 이들이 있는가 하면, 젊은이들 스스로 노력해 상을 받아야 한다고 반박하는 이들도 있다.

하지만 이렇게 해석해도, 저렇게 해석해도 양조위의 화려한 수상 경력에 비추어 볼 때, 웡징 감독의 발언은 사실상 은퇴를 종용하는 것에 가까워 보여 아쉬움을 사는 것은 사실이다.

지난 수십 년간 활동하며 그 흔한 논란 한 번 없이 최고의 배우이자 톱스타의 자리를 지켜오며 팬들의 사랑을 두루 받아온 양조위.

그에게 6번째 금상장 주연상이라는 영광을 안겨준 ‘골드핑거’는 양조위와 유덕화가 20년 만에 다시 만난 작품으로 큰 관심과 기대를 모은 작품으로 국내에서는 지난 4월 10일 개봉했다.
댓글0